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차트

차트 - 이동평균선2

by 단또 2022. 9. 1.

이동평균선은 수렴과 확산을 반복한다.

수렴을 하면서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가 발생하여 추세가 변하게 되며

추세가 변하고 확산이 되는 동안  이격도가 커지게 된다.

 

 

수렴과 확산

수렴과확산
수렴과확산

이동평균선은 항상 수렴과 확산을 반복한다.

모든 이동평균선들이 촘촘하게 모이는 수렴 구간과 이동평균선들의 간격이 벌어지는 확산을 반복한다.

상기 사진에서 빨간색 네모 구간은 수렴 , 파란색 네모 구간은 확산을 뜻한다.

추세의 변화를 위해서는 수렴 구간이 있어야 한다.

수렴 구간에서 주가가 위로 가느냐 밑으로 가느냐에 따라서 추세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동평균선이 수렴한다는 것은 현재 주가가 일정 기간의 가격 평균과 비슷하다는 말이 된다.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만난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의

매수 평균 단가가 비슷해졌다는 이야기가 된다.

여기서 악재로 인하여 하락 추세가 된다면 손절하는 사람이 대량 나오면서 크게 하락할 것이고

호재로 인하여 강하게 폭발한다면 이동평균선은 쭉 확산하며 주가는 상승할 것이다.

우리는 항상 수렴 상태에서 확산 상태로 변할 때 주목해야 한다.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

상기 사진에서 빨간색 동그라미가 골든크로스 파란색 동그라미가 데드크로스 이다.

골든크로스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로 돌파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데드크로스란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돌파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예견하진 않는다.

하지만 추세가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가가 하락 추세일 때도 단기적으로 골든크로스가 일어날 수는 있다.

하지만 그런 것은 의미가 없다.

수렴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평균선의 방향이 우상향을 향하면서 나타나는 골든크로스가 가장 좋다.

특히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강하게 확 뚫어줄수록 그 효과는 크다.

 

 

이격도

이격도란 이동평균선의 간격을 의미한다.

수렴 구간은 이격도가 적을 것이고 확산 구간은 이격도가 클 것이다.

첫 번째 사진에서 주황색 네모 구간을 유심하게 보자.

이동평균선의 이격도가 확산을 하면 크게 벌어져 있다.

이 구간은 주식을 매수하기 유리한 구간인가 불리한 구간인가?

유불리를 떠나서 위험한 자리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격도가 저렇게까지 벌어진다는 것은 최근의 시세가 단기간에 지나치게 상승했다는 의미다.

저렇게 상승한 주식은 수익 구간의 사람들이 언제든지 수익 실현을 할 수 있는 자리이므로

언제든지 쉽게 하락할 수 있는 자리라고 보면 된다.

주가 꼭대기에서 더 올라갈 것 같아서 잡는 개미들에게 물량을 넘기고 떠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동평균선을 매매에 활용하려면 수렴 구간인지를 파악하고 모니터 하여 골든크로스가 발생할 때

초기에 캐치하거나 상승 후 눌림목일 때 진입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블로그는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블로그입니다-
-본 블로그는 절대로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스터디-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 박스권  (0) 2022.09.12
차트 - 삼각 수렴  (0) 2022.09.11
차트 - 이동평균선1  (0) 2022.08.31
차트 - 추세와 파동  (0) 2022.08.30
차트 - 눌림목  (0) 2022.08.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