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주식 시장에 입문하여 차트를 켜게 되면 기본적으로 이동평균선을 볼 수 있다.
그만큼 이동평균선은 차트의 기본이자 주가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요소이다.
이동평균선의 의미/배열 그리고 단순/지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자.
이동평균선의 의미와 역할
이동평균선이란 주가의 평균 가격을 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진의 위쪽을 보면 색깔별로 5 10 20 60 120 이라고 나와있는데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을 뜻하고 설정은 앞서 공부한 차트-기본설정 편에서 확인할 수 있다.
5일은 5일간의 주가의 평균을 차트에 나타내고 있고
20일은 20일간의 주가의 평균을 차트에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5 10 20일 이동평균선은 단기 추세를 60 120 240일 이동평균선은 중장기 추세를 나타낸다.
이동평균선은 추세가 우상향이냐 우하향이냐 횡보냐 등의 주가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앞서 공부했듯이 이동평균선이 다른 지지와 저항과 겹친다면 더욱 큰 의미가 된다.
이동평균선의 배열
첫 번째 사진은 이동평균선의 정배열 , 두 번째 사진은 이동평균선의 역배열이다.
정배열은 낮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위쪽으로 높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밑쪽으로 배열된 상태를 뜻한다.
첫 번째 사진을 보면 위에서부터 5 10 20 60 120일 순으로 이동평균선이 배열되어 있다.
역배열은 높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위쪽으로 낮은 기간의 이동평균선이 밑쪽으로 배열된 상태를 뜻한다.
두 번째 사진을 보면 위에서부터 120 60 20 10 5일 순으로 이동평균선이 배열되어 있다.
정배열은 주가의 추세가 우상향 즉 상승 추세라는 것을 나타내고
역배열은 주가의 추세가 우하향 즉 하락 추세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인 종목이 있다면 그 종목은 현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거나
악재가 있을 수도 있고 실적이 안 좋아서일 수도 있다.
이동평균선은 항상 정배열 역배열을 반복한다.
정배열인 종목에서 노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고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변하는 종목을 잡아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단순 이동평균선 / 지수 이동평균선
상기 사진은 똑같은 차트에서 단순 이동평균선과 지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보여준다.
마지막 사진은 이동평균선을 더블 클릭하여 설정창에서 단순을 지수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단순 이동평균선이다.
단순 이동평균선은 기간 동안의 주가 가격 그대로를 평균을 내어 보여주고
지수 이동평균선은 기간 동안의 주가에서 예전의 주가보다 최근의 주가를 좀 더 높은 비율을 반영하여
표현되는 이동평균선이라고 보면 된다.
필자는 그냥 단순 이동평균선을 기본으로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고
지수 이동평균선은 참고하는 정도로만 사용한다.
자신이 보기 편한 것으로 설정해서 보면 되고 최근의 시세를 아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지수 이동평균선이라는 것도 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본 블로그는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블로그입니다-
-본 블로그는 절대로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스터디-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 삼각 수렴 (0) | 2022.09.11 |
---|---|
차트 - 이동평균선2 (0) | 2022.09.01 |
차트 - 추세와 파동 (0) | 2022.08.30 |
차트 - 눌림목 (0) | 2022.08.29 |
차트 - 돌파(전고점,박스권,52주,역사적 신고가)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