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일반

프로그램매매 활용법

by 단또 2022. 8. 28.

프로그램매매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정된 가격에서

매수 매도를 자동으로 하는 시스템을 이야기한다.

막대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기관들이 다수의 종목들을 거래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매매 동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매매를 한다면 조금 더 수익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프로그램매매란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내가 얼마에 매수해 얼마에 매도해 라고 가격과 수량을 지정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매수 매도를 해주는 것이다.

외국인이나 기관처럼 막대한 자금을 가진 주체들이 주로 사용한다.

그들은 개인과는 달리 수없이 많은 종목을 살펴보고 거래하기 때문이다. 

물량 확보를 위해서 사는지 당일 상승을 목적으로 사는지 하락을 막기 위해 사는지 등등

어떠한 이유든 목적이 있기에 주식을 매수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기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인 만큼 흔적이 남는다.

우리는 계속 말씀드리지만 그 흔적을 눈치 빠르게 알아채야 한다.

등치 큰 형들 눈치를 살펴야 오래 살아남는다는 이야기다.

 

 

프로그램매매가 많은 종목

프로그램매매는 주로 수급주에서 나타난다.

외국인이나 기관이 주로 사용하고 이들은 주로 수급주에서 활동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막대한 자본금에 비해 세력주의 호가창은 너무나도 빈약하기 때문에

프로그램매매는 주로 수급주와 커플링 된다고 보면 될 것이다.

필자가 가장 기억에 남는 종목은 작년에 흠슬라라고 불렸던 HMM 이라는 종목이 있다.

이 종목은 2020년부터~2021년에 걸쳐서 엄청난 상승을 하였다.

대략 15배 이상 올랐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때 당시 이 종목을 매매할 때

필자는 다른 건 보지도 않고 거의 프로그램매매 창만 봤던 것 같다.

아주 높은 확률로 프로그램매매 순매수량이 증가하면 주식의 상승으로 커플링 됐던 것으로 기억한다.

요즘이야 그 종목을 매매를 안 해서 어떤지 모르겠지만 그때 당시에는

종목 고유의 특성이 그러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이렇듯 프로그램매매를 매매에 활용한다면 중요한 근거 및 기준이 되어줄 수 있기에

수급주를 매매한다면 꼭 참고를 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앞서 공부했던 거래원과 프로그램매매 순매수 수량 등을 비교해서 봤을 때 수량과 시간이 비슷하다면

아 오늘 이 거래원이 프로그램매매를 이용해서 매수를 하고 있구나 이렇게 판단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램매매 활용법

프로그램매매 추이를 볼 수 있는 창은 키움증권 기준 0778번이다.

프로그램매매는 기계적인 반응이라 티가 나게 되어있다.

그런 흔적을 우리는 매매에 활용하여야 한다.

하락 시 어떠한 가격대만 오면 프로그램을 통해 매수가 쭉 들어온다면

우리는 그 가격대를 지지를 해주는 가격대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상승 돌파매매를 할 때 돌파 직전 가격대에서 프로그램매수가 쭉 들어온다면

그들도 이 가격대에서 돌파매매를 노렸구나 하고 유추해볼 수 있다는 이야기다.

또한 상한가 종목이 상한가가 풀림과 동시에 프로그램매수가 쭉 들어온다면

아 오늘 상한가를 안 깨겠다는 굳은 의지가 있구나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매수가 장 초반부터 계속 들어오는데 종목은 위아래 무더기 물량에 막혀

계속해서 상승도 하락도 하지 않는다면 아 뭔가 보유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매집 중인가 보구나 물량을 꽤 모으는 걸 보니 며칠 후 혹은 몇 주 뒤에 오를 수 있겠구나

관심종목에 넣어놓고 확인해봐야지. 이런 식으로 매매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끝으로 프로그램매매를 활용하여 매매할 때 순매수 수량이 증가하느냐를 봐야 한다.

지금 순매수 수량이 5000주인데 2시간이 지나도 5000주 라면 무턱대고 진입하면 안 된다.

꾸준히 시간에 비례하여 순매수 수량이 증가하느냐를 꼭 확인하도록 하자.

 

-본 블로그는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블로그입니다-
-본 블로그는 절대로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스터디-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기의 중요성  (0) 2022.09.18
시가총액 상위 종목 관찰  (0) 2022.09.02
거래원에 대한 이해  (0) 2022.08.27
수급에 대한 이해  (0) 2022.08.26
관심 종목 정리의 중요성  (0) 2022.08.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