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기본 요소중 하나인 캔들을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캔들 하나하나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것이 차트인 것입니다.
기본 요소인만큼 캔들을 잘 알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캔들의 종류
*파란색 화살표 - 음봉이라고 함 , 종가가 시가보다 하락했을 때 나타나는 캔들
*빨간색 화살표 - 양봉이라고 함 , 종가가 시가보다 상승했을 때 나타나는 캔들
*주황색 화살표 - 도지라고 함 , 윗꼬리 아랫꼬리를 달고 있는 캔들
시가에 비해 상승도 하고 하락도 했지만 종가가 시가와 비슷하게 끝난 캔들
종가가 시가보다 상승하면 빨간색 도지 캔들 , 종가가 시가보다 하락하면 파란색 도지 캔들
*보라색 화살표 - 음봉이긴 하지만 금일 종가가 전일 종가에 비해 상승한 상승형 음봉
*녹색 화살표 - 양봉이긴 하지만 금일 종가가 전일 종가에 비해 하락한 하락형 양봉
캔들의 의미
캔들을 보고 판단을 할 때 그냥 양봉이구나 음봉이구나 하고 보는 것은 의미가 없다.
왜 여기서 이 캔들이 나왔을까 이 캔들은 어떤 의미일까 이런 식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캔들을 볼 때 일봉 차트에서 봤다면
분봉 차트로 어떤 과정으로 이 캔들이 만드러 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윗꼬리가 달린 10%짜리 양봉이라면 분봉 차트로 가서
어떤 과정으로 양봉이 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장 초반에 급등을 20% 까지 하고 하루 종일 흘러내려서 완성된 캔들인지
장 초반에 급등하고 급락을 쭉 하고 장 막판에 다시 10%까지 끌어올린 건지
이런 것들을 확인하는 것이 다음날 추세에 영향을 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도지 캔들도 마찬가지다. 도지 캔들이 만들어졌다는 건 매수세 매도세가 팽팽했다는 이야기다.
상승도 하고 하락도 했지만 종가는 보합이라는 의미인 건데
언제 하락하고 언제 끌어올린 건지를 확인해야 다음날 매매하는데 대비하기가 수월하다.
그리고 만약 쭉 하락하던 주식이 하락을 멈추고 3일 연속 도지 캔들이 발생했다면
그것은 좋은 의미로 해석해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락시키는 힘을 매수세가 방어를 해주면서 버텼다는 의미다.
그 후에 더 하락할지 상승할지는 예측할 수 없다.
다만 하락을 멈췄다. 하락하는 힘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이런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캔들을 볼 때 항상 생각을 하고 이해를 하면서 봐야 한다.
캔들의 위치
캔들의 위치 또한 항상 유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어느 자리에서 이 캔들이 왜 발생했는지를 맞출 수는 없다.
하지만 유추를 해보면서 확률을 높여가는 매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랫꼬리가 달렸다면 어느 포인트에서 반등을 했는지 왜 달렸는지 주요 지지 포인트인지
윗꼬리가 달렸다면 어느 포인트에서 막혔는지 왜 막혔는지 주요 저항 포인트인지
양봉이 발생했는데 전일 음봉 크기보다 큰 양봉인지
음봉이 발생했는데 전일 양봉 크기보다 큰 음봉인지
장대양봉이 발생했는데 주요 저항을 다 뚫어버린 강력한 장대양봉인지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캔들을 해석하는 것이 좋다.
단순하게 양봉이네 음봉이네 이런 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블로그는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블로그입니다-
-본 블로그는 절대로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스터디-차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 매물대 (0) | 2022.09.24 |
---|---|
차트 - 매집의 흔적 (0) | 2022.09.17 |
차트 - 패턴 (루트 / 깃발) (0) | 2022.09.15 |
차트 - 패턴 (헤숄 / 역헤숄 / N자) (0) | 2022.09.14 |
차트 - 패턴 (쌍바닥 / 쌍봉) (0) | 2022.09.13 |
댓글